IGS 위성

IGS 위성일본정찰위성이다. Information Gathering Satellite의 약자이다.

1998년 북한대포동 1호를 일본 상공을 지나게 발사하면서, 그에 대한 대응으로 시작되었다. 이 계획의 주요 임무는 이웃한 적성국의 미사일 발사 준비 징후를 관찰하는 것이다. 대규모 재해의 감시에도 사용한다. 내각이 직접 통제하고 있다.

광학위성과 레이다 위성과 데이터중계위성의 3종류가 있다. 광학 위성은 가시광선적외선을 합성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다중파장 센서도 탑재된다. 설계 수명은 5년에서 실험 위성의 설계 수명은 2년 또는 3년이다.

IGS는 해상도를 우선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일본이 발사 민간의 ALOS 위성 시리즈보다 관측 범위가 좁다. ALOS 위성 외에도 일본의 민간 및 수출용으로는 소형 지구 관측 위성 시리즈의 ASNARO 위성 시리즈가 존재한다. ASNARO 새로운 설계 사상으로 개발 된 것으로, 소형 경량으로 저가격이면서, 광학위성은 해상도50cm 급을 달성했다. 그러나 관측 범위와 연속 촬영 능력과 일부 기능은 IGS나 ALOS보다 못하다.

2003년 11월 29일 H-IIA 로켓의 발사가 실패했다. 레이다 1호와 레이다 2호는 전원 계의 문제에서 수명보다 일찍 고장했다.

연표

날짜 (UTC) 위성 위성 (NORAD) 해상도 발사체 발사 운용
2003년 3월 28일 광학 1호 IGS 1A, IGS 1B 1m H-IIA F5 성공 퇴역
레이다 1호 1m - 3m 퇴역
2003년 11월 29일 광학 2호 N/A 1m H-IIA F6 실패
레이다 2호 1m - 3m
2006년 9월 11일 광학 2호 IGS 3A 1m H-IIA F10 성공 퇴역
2007년 2월 24일 레이다 2호 IGS 4A, 4B 1m - 3m H-IIA F12 성공 퇴역
광학실험 3호 60cm 퇴역
2009년 11월 28일 광학 3호 IGS 5A 60cm H-IIA F16 성공 퇴역
2011년 9월 23일 광학 4호 IGS 6A 60cm H-IIA F19 성공 퇴역
2011년 12월 12일 레이다 3호 IGS 7A 1m H-IIA F20 성공 현역
2013년 1월 27일 레이다 4호 ? 1m H-IIA F22 성공 현역
광학실험 5호 40cm 퇴역
2015년 2월 1일 레이다 예비 IGS 1m H-IIA F27 성공 현역
2015년 3월 26일 광학 5호 IGS OPTICAL 5 30 cm[1] - 40cm[2] H-IIA F28 성공 현역
2017년 3월 17일 레이다 5호 50 cm[3] H-IIA F33 성공 현역
2018년 2월 27일 광학 6호 IGS OPTICAL 6 30 cm[4] H-IIA F38 성공 현역
2018년 6월 12일 레이다 6호 50 cm[5] H-IIA F39 성공 현역
2020년 2월 9일 광학 7호 30 cm 보다 고성능[6] H-IIA F41 성공 현역
2020년 11월 29일 데이터중계 1호 H-IIA F43 성공 현역
2023년 1월 26일 광학 7호 H-IIA F46 성공 현역

각주

  1. 「北」監視能力の向上期待 情報収集衛星打ち上げ成功 Sankei, March 26 2015
  2. H2Aロケット28号機打ち上げ成功 情報収集衛星搭載 Asahi, March 26 2015
  3. 情報収集衛星打ち上げ成功 物体識別能力は従来の約2倍、夜間監視力が向上 Sankei, March 17 2017
  4. 産経新聞2018.2.27 14:00
  5. 産経新聞2018.6.12 13:46
  6. “産経新聞2020.2.9”. 2020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2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 "Lifting The Darkness On Japan's Next Spy Satellite", SpaceDaily, Nov 27, 2006.
  • "Japan launches new spy satellite", bbc.co.uk, 11 Sep 2006.
  • "Japanese launch fails", SPACEFLIGHT NOW, Nov 29, 2003.
  • "Japanese rocket puts spy spacecraft into orbit", SPACEFLIGHT NOW, 24 February 2007
  • v
  • t
  • e
세계의 정찰위성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일본의 기 일본
  • IMINT
    • IGS 1A
    • IGS 1B
    • IGS 3A
    • IGS 4A
    • IGS 4B
    • IGS 5A
    • IGS 6A
    • IGS 7A
    • IGS 8A
    • IGS 8B
중국의 기 중국
  • IMINT
    • JSSW
    • FSW-0
    • FSW-1
    • FSW-2
    • FSW-3
    • JianBing
    • CBERS-2
  • SIGINT
    • JSSW-3
    • SJ-2
    • DQ-1
  • COMM
    • Feng Huo-1
    • ShenTong-1
미국의 기 미국러시아의 기 러시아프랑스의 기 프랑스
  • IMINT
이스라엘의 기 이스라엘
  • COMM
    • AMOS 1
    • AMOS 2
    • AMOS 3
    • AMOS 4
인도의 기 인도
  • IMINT
    • RISAT-2
독일의 기 독일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상업용
  • IMINT (SAR)
    • RADARSAT-1
    • RADARSAT-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