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하계 올림픽

1960년 하계 올림픽
대회제17회 하계 올림픽 경기 대회
개최국이탈리아
개최 도시로마
참가국83개국
참가 선수5338명
(남자: 4727명, 여자: 611명)
경기 종목17개 종목, 150개 세부 종목
개막식1960년 8월 25일
폐막식1960년 9월 11일
개회 선언조반니 그론키 대통령
선수 선서아돌포 콘솔리니
성화 점화잔카를로 페리스
주경기장스타디오 올림피코
하계 올림픽
맬버른 1956 도쿄 1964  >

1960년 하계 올림픽(영어: 1960 Summer Olympics, Games of the XVII Olympiad, 이탈리아어: Giochi della XVII Olimpiade)은 이탈리아 로마에서 1960년 8월 25일부터 9월 11일까지 개최된 제17회 하계 올림픽이다. 로마는 1908년 하계 올림픽을 개최하기로 하였으나 1906년 베수비오 화산의 활동으로 개최권을 영국 런던에 넘기게 되었다.

투표 결과

1955년 6월 15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이탈리아 로마로 결정되었다.

개최지 투표 결과
후보 도시 NOC 1차 투표 2차 투표 3차 투표
로마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15 26 35
로잔 스위스의 기 스위스 14 21 24
디트로이트 미국의 기 미국 6 11
부다페스트 헝가리의 기 헝가리 8 1
브뤼셀 벨기에의 기 벨기에 6
멕시코시티 멕시코의 기 멕시코 6
도쿄 일본의 기 일본 4

참가국

1960년 하계 올림픽 참가국
참가국들이 파견한 선수단의 인원 수

모로코, 산마리노, 수단, 튀니지 4개국이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동독서독연합 선수단을 결성하여 대회에 참가했으며,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토바고, 바베이도스 출신 선수들은 서인도 연방 선수단을 결성하여 대회에 참가했다. 1960년 하계 올림픽 참가국과 인원은 다음과 같다.

참가국 및 인원 목록
  • 아프가니스탄 (12)
  • 서인도 연방 (13)
  • 아르헨티나 (91)
  • 오스트레일리아 (189)
  • 오스트리아 (103)
  • 바하마 (13)
  • 벨기에 (101)
  • 버뮤다 (9)
  • 브라질 (72)
  • 영국령 기아나 (5)
  • 불가리아 (98)
  • 버마 (10)
  • 캐나다 (85)
  • 실론 (5)
  • 칠레 (9)
  • 콜롬비아 (16)
  • 쿠바 (12)
  • 체코슬로바키아 (116)
  • 덴마크 (100)
  • 에티오피아 (10)
  • 피지 (2)
  • 핀란드 (117)
  • 프랑스 (238)
  • 독일 연합 (293)
  • 가나 (13)
  • 영국 (253)
  • 그리스 (48)
  • 아이티 (1)
  • 홍콩 (4)
  • 헝가리 (184)
  • 아이슬란드 (9)
  • 인도 (45)
  • 인도네시아 (22)
  • 이란 (23)
  • 이라크 (21)
  • 아일랜드 (49)
  • 이스라엘 (23)
  • 이탈리아 (280) (개최국)
  • 일본 (162)
  • 케냐 (27)
  • 대한민국 (35)
  • 레바논 (19)
  • 라이베리아 (4)
  • 리히텐슈타인 (5)
  • 룩셈부르크 (52)
  • 말라야 연방 (9)
  • 몰타 (10)
  • 멕시코 (69)
  • 모나코 (11)
  • 모로코 (47)
  • 네덜란드 (110)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5)
  • 뉴질랜드 (37)
  • 나이지리아 (12)
  • 노르웨이 (40)
  • 파키스탄 (44)
  • 파나마 (6)
  • 페루 (31)
  • 필리핀 (40)
  • 폴란드 (185)
  • 포르투갈 (65)
  • 푸에르토리코 (27)
  • 중화민국 (27)
  • 로디지아 (14)
  • 루마니아 (98)
  • 산마리노 (9)
  • 싱가포르 (5)
  • 남아프리카 연방 (55)
  • 소련 (283)
  • 스페인 (144)
  • 수단 (10)
  • 스웨덴 (134)
  • 스위스 (149)
  • 태국 (20)
  • 튀니지 (42)
  • 튀르키예 (49)
  • 우간다 (10)
  • 아랍 연합 공화국 (74)
  • 미국 (292)
  • 우루과이 (34)
  • 베네수엘라 (36)
  • 베트남 (3)
  • 유고슬라비아 (116)

  • 수리남의 기 수리남도 개막식에 참가하였으나, 유일하게 참가한 육상 선수가 일정 착오로 인해 경기 도중 기권하였다.

종목

  • 근대5종
  • 농구
  • 다이빙
  • 레슬링
  • 복싱
  • 사격
  • 사이클
  • 수구
  • 수영
  • 승마
  • 역도
  • 요트
  • 육상
  • 조정
  • 체조
  • 축구
  • 카누
  • 펜싱
  • 하키

메달 집계

  주최국 (이탈리아)

1960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순위 국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합계
1 소련 (URS) 43 29 31 103
2 미국 (USA) 34 21 16 71
3 이탈리아 (ITA) 13 10 13 36
4 독일 연합 (EUA) 12 19 11 42
5 오스트레일리아 (AUS) 8 8 6 22
6 튀르키예 (TUR) 7 2 0 9
7 헝가리 (HUN) 6 8 7 21
8 일본 (JPN) 4 7 7 18
9 폴란드 (POL) 4 6 11 21
10 체코슬로바키아 (TCH) 3 2 3 8

대한민국 선수단이 단 한 개의 메달도 따내지 못한 유일한 대회이다.

대회 이모저모

  • IOC의 결정에 의해, 중화민국은 서양에서 쓰이는 타이완(대만)에 관한 지명 가운데 하나인 포르모사(Formosa)라는 이름으로 참가해야 했다. 중화민국은 이의 항의로 개회식 때 Under Protest(항의한다)라는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입장하였다. 경기마다 중화민국 선수단의 유니폼 검사를 하여 포르모사라는 이름으로 출전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논란이 되었다.
  • 대회 4일째인 8월 28일은 주일로 기독교 예배를 위해 경기가 없었다.
  • 대한민국은 하계 올림픽 출전 사상 유일하게 단 한 개의 메달도 획득하지 못하는 부진을 면치 못했다.
  • 복싱 라이트 헤비급의 금메달리스트 캐시어스 클레이는 후에 무하마드 알리로 이름을 바꾸어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 당시는 금지약물의 개념이 희박하여 선수들은 규제없이 복용하고 있었다. 심지어 경기력 향상을 위해 마약을 복용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 대회에서 덴마크의 사이클 선수 크누드 에네마르크 옌센이 약물 복용으로 인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그 후 올림픽 팀에 배속된 각 국의 의사들이 모여 이러한 실태를 개선해야 한다는 결의를 하였다. 약물 검사는 1968년 하계 올림픽부터 시행되게 된다.
  • 세계적으로도 악명높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해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번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올림픽 출전이 금지 및 제한되었다. 이후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IOC 지위를 회복하여 다시 참가한다.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1960년 하계 올림픽
  • IOC 1960년 하계 올림픽 페이지
하계 올림픽
이전 대회 1960년 하계 올림픽
로마 1960
다음 대회
멜버른-스톡홀름 1956 도쿄 1964
  • v
  • t
  • e
하계 올림픽
동계 올림픽
회색 글씨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됨 •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해 2021년에 개최됨
  • v
  • t
  • e
1960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근대5종
  • 농구
  • 다이빙
  • 레슬링
  • 복싱
  • 사격
  • 사이클
  • 수구
  • 수영
  • 승마
  • 역도
  • 요트
  • 육상
  • 조정
  • 체조
  • 축구
  • 카누
  • 펜싱
  • 하키
  • v
  • t
  • e
1960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아메리카
  • 가이아나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 멕시코
  • 미국
  • 바하마
  • 버뮤다
  • 베네수엘라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영국령 서인도
  • 우루과이
  • 칠레
  • 캐나다
  • 콜롬비아
  • 쿠바
  • 파나마
  • 페루
  • 푸에르토리코
아시아
아프리카
  • 가나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연방
  • 라이베리아
  • 로디지아
  • 모로코
  • 수단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이집트
  • 케냐
  • 튀니지
오세아니아
유럽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연합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몰타
  • 벨기에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소련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영국
  • 오스트리아
  • 유고슬라비아
  • 이탈리아
  • 체코슬로바키아
  • 튀르키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포르투갈
  • 헝가리
  • v
  • t
  • e
이탈리아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
국가급
종합경기대회
올림픽
패럴림픽
유니버시아드
지중해 게임
세계 군인 체육 대회
  • 1995년 세계 군인 체육 대회
  • 2003년 세계 군인 체육 대회
  • 2010년 동계 세계 군인 체육대 회
개별경기대회
동계스포츠
미식축구
비치사커
수영
육상
축구
펜싱
야구
  • 1956년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 1964년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 1971년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 1979년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 1983년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 1991년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체조
  • 1909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
  • 1954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
  • 1998년 세계 에어로빅 체조 선수권 대회
  • 2017년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
배구
  • 1978년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 1985년 FIVB U-21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 1985년 FIVB U-20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 1991년 FIVB 배구 월드리그
  • 1992년 FIVB 배구 월드리그
  • 1994년 FIVB 배구 월드리그
  • 1998년 FIVB 배구 월드리그
  • 2004년 FIVB 배구 월드리그
  • 2009년 FIVB U-19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 2010년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 2014년 FIVB 배구 월드리그
  • 2014년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 2018년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비치발리볼
  • 2002년 FIVB U-21 세계 비치발리볼 선수권 대회
  • 2004년 FIVB U-19 세계 비치발리볼 선수권 대회
  • 2007년 FIVB U-21 세계 비치발리볼 선수권 대회
  • 2011년 FIVB 세계 비치발리볼 선수권 대회
프로급
자전거
테니스
배구
  • 1989년 FIVB 세계 남자 클럽 배구 선수권 대회
  • 1990년 FIVB 세계 남자 클럽 배구 선수권 대회
  • 1992년 FIVB 세계 남자 클럽 배구 선수권 대회
  • 1992년 FIVB 세계 여자 클럽 배구 선수권 대회
그리스 | 노르웨이 | 러시아 | 독일 | 스위스 | 영국 | 이탈리아 | 프랑스 | 폴란드 | 스페인 | 튀르키예 | 크로아티아
대한민국 | 아랍에미리트 | 인도 | 일본 | 중화인민공화국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태국 |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 캐나다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칠레 | 콜롬비아 | 멕시코
전거 통제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제
  • VIAF
국가
  • 독일
  • 이스라엘
  • 미국
  • 체코